5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5만1000명 증가하는 데 그치면서 2개월 연속 증가 폭이 둔화했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으며 20대 이하의 경우 전 연령 중 유일하게 고용률이 하락했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83만5000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35만1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는 2021년 3월 이후 27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였으나 증가 폭은 지난달(35만4000명)에 이어 2개월째 둔화했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해 5월(93만5000명)부터 지난 2월(31만2000명)까지 꾸준히 감소했으나 지난 3월 46만9000명을 기록하며 반등했다. 이후 다시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37만9000명, 30대에서 7만명, 50대에서 4만9000명이 각각 증가했으나, 20대 이하에서 9만9000명, 40대에서 4만8000명이 각각 감소했다.
산업별로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6만6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12만8000명)이 전체 취업자 수 증가를 이끌었다.
건설업(-6만6000명), 도매 및 소매업(-3만1000명)에서는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특히 제조업 취업자 수는 3만9000명이 줄며 5개월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반도체·석유화학 등에서 수출이 감소한 영향이 있었다"며 "기타 기계장비·자동차 등에서 늘어 감소폭은 둔화했다"고 밝혔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5%p 상승해 63.5%를 기록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 작성 이래 5월 기준 가장 높은 수치다. 아울러 15~64세 고용률은 69.9%를 기록하며 1년 전보다 0.7%p 늘었는데,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높았다. 다만 20대 이하의 고용률은 47.6%를 기록해 전년 동월 대비 0.2%p 줄었다. 전 연령 중 유일하게 고용률이 하락했다.
실업률은 1년 전보다 0.3%p 줄어 2.7%를 기록했다. 1999년 6월 관련 통계 산출 방식이 변경된 이후 5월 기준 가장 낮은 수치다. 실업자 수는 78만7000명으로 10만2000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 인구는 1575만6000명을 기록해 1년 전보다 11만5000명이 줄었다. 27개월 연속 감소세다.
서 국장은 "향후 고용에서 관광객 입국 등이 상방 요인으로, 수출·물가 등 경기 요인이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달 남성 취업자는 6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에서 감소한 반면, 여성 취업자는 청년층을 뺀 모든 연령에서 증가했다.
통계청 서운주 국장은 "남성이 주로 취업하는 제조업과 건설업 경기는 부진하고 여성 취업자 비중이 큰 보건복지와 숙박·음식업은 인력 수요가 늘어나는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앞으로도 대면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고용 호조세가 지속되며 고용률과 실업률은 양호한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수출 및 설비투자 부진 등에 따라 제조업 일자리 회복이 지연되면서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점차 축소될 것으로 기재부는 전망했다.
한편, 정부는 제조업과 해외건설업 등 기존 '구인난 6대 업종'에 국내건설업과 해운업, 수산업, 자원순환업을 추가한 '제2차 빈일자리 해소방안'을 마련해 다음 달 발표하기로 했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자아이들 2억뷰 달성, 'Oh my god' MV 2억 뷰 돌파 (0) | 2023.06.14 |
---|---|
이준호 임윤아 화보, 실제 연인 같은 분위기에 심쿵 (0) | 2023.06.14 |
강원 양양 육군 헬기 불시착, 사고의 전말 (0) | 2023.06.14 |
논란의 '피지컬 100' 시즌2 제작 확정 (0) | 2023.06.14 |
'다 이루어질지니', 김우빈 수지 캐스팅 화제 (0) | 2023.06.14 |
댓글